DevOps 엔지니어의 김영한 DB 강의 후기: 인프라 너머 데이터까지
DevOps 엔지니어가 김영한 데이터베이스 강의로 DB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더 효율적인 인프라 설계를 하게 된 후기입니다.
럿지 AI 팀
2분 읽기
목차
서버만 관리하면 안 된다
DevOps의 맹점
**배경:** DevOps 엔지니어 4년차, AWS/Docker/K8s, 연봉 7,000만원
**업무:**
- CI/CD 파이프라인
- 서버 모니터링
- DB 백업/복구
**문제:**
- DB는 "그냥 돌아가는 블랙박스"
- 성능 이슈 시 "DB 문제인가?" 판단 못 함
- 개발자와 대화 시 "DB 구조는 모릅니다" 반복
장애 경험
**상황:**
주문 폭주 시 DB CPU 100%
**시도:**
- 서버 스케일 아웃 (효과 없음)
- DB 인스턴스 업그레이드 (비용만 증가)
**원인:**
인덱스 없는 쿼리 (개발자가 알려줌)
**느낀 점:**
"DB 구조를 이해했다면 빠르게 해결했을 텐데..."
김영한 강의 수강
**목표:**
DB 내부 구조 이해 → 더 나은 인프라 설계
핵심 수확
1. 파티셔닝 전략
**배운 것:**
- Range 파티셔닝
- List 파티셔닝
- Hash 파티셔닝
**적용:**
주문 테이블을 월별로 파티셔닝
**효과:**
- 백업 시간 70% 단축
- 조회 성능 향상
2. 인덱스 이해
**Before:**
"인덱스 추가하면 빨라진다" 정도만 앎
**After:**
- B-Tree 구조 이해
- 복합 인덱스 설계
- 쿼리 실행 계획 분석 (EXPLAIN)
**활용:**
슬로우 쿼리 로그 분석 → 인덱스 최적화 제안
3. 레플리케이션 구조
**쇼핑몰 프로젝트:**
Master-Slave 구조 설계
**적용:**
읽기 부하 분산 전략 수립
**결과:**
DB 부하 50% 감소
실무 적용
DB 모니터링 개선
**Before:**
CPU/메모리만 모니터링
**After:**
- 테이블별 쿼리 빈도
- 인덱스 사용률
- 파티션별 데이터 증가율
**효과:**
문제 발생 전 사전 감지
백업 전략 최적화
**Before:**
전체 DB 백업 (시간 오래 걸림)
**After:**
파티션별 백업 → 필요한 부분만 복구 가능
**시간:**
4시간 → 30분
개발자와의 협업
**Before:**
"DB 느린데 서버 문제인가요?"
**After:**
"이 쿼리에 인덱스가 없어서 풀 테이블 스캔 발생합니다"
**반응:**
"DevOps인데 DB를 이렇게 잘 아시네요!"
연봉 협상
**이직:**
DevOps + DB 아키텍처 설계 역할
**제시:**
연봉 8,500만원 (+21%)
결론
DevOps도 김영한 강의로 **DB 아키텍처**를 이해하면 훨씬 효율적인 인프라 운영이 가능합니다!
---
**태그**: #김영한 #데이터베이스 #DevOps #인프라 #DB아키텍처
L
럿지 AI 팀
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