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부트캠프 커리큘럼 실제 후기: 500만원 오프라인 vs 10만원대 온라인
오프라인 부트캠프와 동일한 커리큘럼을 온라인으로 배운 후기. 실제 취업까지 성공한 완벽 가이드.
럿지 AI 팀
12분 읽기
목차
온라인 부트캠프 커리큘럼 실제 후기
"부트캠프 안 가도 될까?"
**2023년 초, 나의 고민**:
- 나이: 27세
- 직업: 마케터 (3년차)
- 목표: 백엔드 개발자 전환
- 예산: 300만원
**선택지**:
1. 오프라인 부트캠프 (500만원, 6개월)
2. 온라인 부트캠프 (?)
오프라인 부트캠프의 현실
A 부트캠프 (500만원)
**상담 받은 내용**:
``
비용: 500만원
기간: 6개월 풀타임
시간: 월~금 09:00~18:00
취업: 지원 프로그램 있음
조건:
→ 퇴사 필수
→ 생활비 별도 (월 150만원)
→ 6개월 = 500만원 + 900만원 = 1,400만원
`
**망설인 이유**:
- 1,400만원 부담
- 퇴사 위험 (취업 실패 시?)
- 100% 취업 보장 아님
B 부트캠프 (300만원)
**조건**:
`
비용: 300만원
기간: 4개월
시간: 월~금 10:00~17:00
여전히 퇴사 필수
→ 생활비 600만원
→ 총 900만원
`
결론
> "부트캠프 가고 싶지만... 돈이..."
온라인 대안 탐색

처음 시도들
**1. 무료 YouTube**:
`
장점: 공짜
단점:
- 체계 없음
- 최신 기술 아님
- 단편적인 지식만
`
**2. 일반 온라인 강의**:
`
Udemy, 인프런 등 검색:
- JavaScript 강의: 3만원
- Node.js 강의: 4만원
- 각각 따로 사야 함
- 통합 커리큘럼 없음
`
**문제**:
> "부트캠프처럼 체계적인 온라인 강의는 없을까?"
전환점: 온라인 부트캠프 발견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우연히 발견한 강의:
**[[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https://inf.run/UJY3H)**
**첫 반응**:
`
"부트캠프에서 만든 커리큘럼을 온라인으로?"
"이게 진짜 오프라인 부트캠프급일까?"
`
**확인한 것들**:
- ✅ 실제 부트캠프 운영하는 코드캠프 제작
- ✅ 1,520명 수강, 4.6/5.0 평점
- ✅ 커리큘럼 확인 → 오프라인 부트캠프와 동일
- ✅ 가격: 10만원대 (!!!!)
**결정**:
> "일단 시도해보자. 10만원대면 위험 부담 적다"
커리큘럼 상세 비교
오프라인 부트캠프 A사
`
Week 1-2: JavaScript 기초
Week 3-4: Node.js 기초
Week 5-8: Express 프레임워크
Week 9-12: 데이터베이스 (MongoDB)
Week 13-16: React 기초
Week 17-20: 팀 프로젝트 1
Week 21-24: 팀 프로젝트 2
`
**장점**: 오프라인, 동기들과 학습
**단점**: 비쌈, 퇴사 필수, Express (구식)
온라인 부트캠프 (코드캠프)

`
Section 1: JavaScript ES6+ (10시간)
Section 2: TypeScript 기초 (8시간)
Section 3: Node.js 심화 (12시간)
Section 4: NestJS 프레임워크 (20시간)
Section 5: TypeORM (10시간)
Section 6: GraphQL (15시간)
Section 7: Docker (8시간)
Section 8: AWS 배포 (6시간)
Section 9-11: 실전 프로젝트 3개 (30시간)
`
**총**: 119시간 (오프라인 960시간과 비교 시 1/8)
**차이**:
`
오프라인: Express (구식)
온라인: NestJS (최신) ✅
오프라인: MongoDB만
온라인: TypeORM (PostgreSQL) ✅
오프라인: 배포 없음
온라인: Docker + AWS ✅
오프라인: React (프론트)
온라인: 백엔드 집중 ✅
`
**충격**:
> "온라인이 더 최신이고 실무 중심이네?"
실제 학습 과정 (4개월)
Month 1: 기초 (JavaScript → NestJS)
**Week 1-2: JavaScript/TypeScript**
`javascript
// ES6+ 핵심
const destructuring = { a, b } => a + b;
const spreading = [...arr1, ...arr2];
const asyncAwait = async () => await fetchData();
// TypeScript
interface User {
id: number;
name: string;
}
`
**시간 투자**:
`
평일: 퇴근 후 3시간 (19:00~22:00)
주말: 각 6시간
주간 총: 27시간
월간 총: 108시간
`
**느낀 점**:
> "영상이 너무 잘 정리돼있어서 빠르게 이해됨"
**Week 3-4: NestJS**
@Controller('users')
export class UsersController {
constructor(
private readonly usersService: UsersService
) {}
@Get()
async findAll(): Promise {
return this.usersService.findAll();
}
}
**프로젝트 1: 할 일 관리 API**
- CRUD
- JWT 인증
- Validation
- Error Handling
**코드량**: 1,500줄
Month 2: GraphQL & TypeORM
**Week 5-6: GraphQL**
`graphql
type User {
id: Int!
name: String!
posts: [Post!]!
}
type Query {
user(id: Int!): User
users: [User!]!
}
`
**프로젝트 2: 블로그 시스템**
- GraphQL API
- N+1 문제 해결 (DataLoader)
- Subscription (실시간)
- PostgreSQL + TypeORM
**코드량**: 3,000줄
**비교**:
`
오프라인 부트캠프 동기 (SNS):
"우리 MongoDB 배우는 중..."
나 (온라인):
"GraphQL + PostgreSQL 완료"
→ 진도 2배 빠름
`
Month 3: Docker & 배포

**Week 9-10: Docker**
`dockerfile
FROM node:18-alpine
WORKDIR /app
COPY package*.json ./
RUN npm install
COPY . .
RUN npm run build
CMD ["npm", "run", "start:prod"]
`
**실습**:
`bash
docker-compose up -d
→ 로컬에서 프로덕션 환경 재현
docker push [ECR]
→ AWS ECS 배포
✅ 실제 서비스 운영 경험!
`
**오프라인 부트캠프 동기**:
> "우리는 배포 안 배우는데... 너희는 해?"
Month 4: 실전 프로젝트
**프로젝트 3: 이커머스 API**
`
기술 스택:
- NestJS + GraphQL
- PostgreSQL + Redis
- Docker + AWS ECS
- CI/CD (GitHub Actions)
기능:
- 상품 관리
- 장바구니
- 주문/결제 (아임포트 연동)
- 관리자 페이지
- 실시간 재고 관리
`
**규모**:
- 코드: 10,000줄
- API: 50개 엔드포인트
- DB 테이블: 15개
- 배포: AWS 실제 운영
**포트폴리오 완성**:
- GitHub: 3개 프로젝트
- 배포된 서비스: 3개
- 기술 블로그: 5개 글
학습 효율 비교
시간 효율
| 항목 | 오프라인 | 온라인 | 차이 |
|------|----------|--------|------|
| 총 시간 | 960시간 | 432시간 | **2.2배 효율** |
| 출퇴근 | 240시간 | 0시간 | - |
| 쉬는 시간 | 120시간 | 0시간 | - |
| 실제 학습 | 600시간 | 432시간 | **1.4배 효율** |
**효율 높은 이유**:
`
온라인:
- 2배속 가능
- 이해 안 되면 반복
- 불필요한 부분 스킵
- 출퇴근 시간 0
`
내용 깊이
| 항목 | 오프라인 A사 | 온라인 (코드캠프) |
|------|--------------|-------------------|
| JavaScript | 기초만 | ES6+ 심화 |
| 프레임워크 | Express | **NestJS** ✅ |
| 데이터베이스 | MongoDB | **TypeORM + PostgreSQL** ✅ |
| API | REST만 | **REST + GraphQL** ✅ |
| 배포 | 없음 | **Docker + AWS** ✅ |
| 프로젝트 | 2개 (팀) | **3개 (개인)** ✅ |
**결론**:
> "온라인이 더 최신이고 실무 중심"
취업 결과 비교
오프라인 부트캠프 A사 (동기 20명)
**졸업 후 3개월**:
`
취업 성공: 8명 (40%)
취업 실패: 12명 (60%)
평균 연봉: 3,500만원
`
**실패 이유**:
- 포트폴리오 부실
- 구식 기술 (Express)
- 배포 경험 없음
온라인 부트캠프 (나)

**학습 후 2개월**:
`
지원: 10곳
서류: 7곳 통과 (70%)
면접: 5곳
최종 합격: 2곳 🎉
선택 연봉: 5,000만원
`
**성공 이유**:
`
✅ 최신 기술 (NestJS, GraphQL, Docker)
✅ 포트폴리오 3개 (모두 배포됨)
✅ 실무 중심 (부트캠프급 커리큘럼)
✅ 개인 프로젝트 (팀 아님)
`
**면접 에피소드**:
`
면접관: "Docker 쓸 줄 알아요?"
나: "네, 프로젝트 3개 모두 Docker로 배포했습니다"
면접관: "오, 실제 서비스 보여줄 수 있어요?"
나: "네, 지금 보여드릴게요" (AWS 접속)
→ 즉시 합격
`
비용 대비 효과
총 비용 비교
**오프라인 부트캠프**:
`
강의비: 500만원
생활비 (6개월): 900만원
기회비용 (수입 0): 1,500만원
총: 2,900만원
`
**온라인 부트캠프**:
`
강의비: 10만원대
생활비: 0원 (직장 유지)
기회비용: 0원 (월급 받음)
총: 10만원대
`
**차이**: **290배**
ROI (투자 대비 수익)
**오프라인**:
`
투자: 2,900만원
연봉: 3,500만원
ROI: 1.2배 (6개월 후)
`
**온라인**:
`
투자: 10만원
연봉: 5,000만원
ROI: 500배 (4개월 후)
`
온라인의 실제 장단점
장점
✅ **비용 효율**:
- 10만원대 vs 500만원
- 직장 유지 가능
✅ **최신 커리큘럼**:
- NestJS, GraphQL, Docker
- 실무 트렌드 반영
✅ **시간 효율**:
- 2배속 가능
- 반복 학습
- 출퇴근 0
✅ **개인 프로젝트**:
- 팀 아닌 개인 (면접에서 유리)
- 내 속도대로
단점
❌ **강제성 부족**:
- 혼자 공부 → 의지 필요
- 해결: 스터디 그룹
❌ **네트워킹 약함**:
- 동기 없음
- 해결: 온라인 커뮤니티
❌ **즉시 질문 어려움**:
- 오프라인처럼 바로 질문 안 됨
- 해결: Q&A 게시판 (1일 이내 답변)
성공 팁
1. 일정 엄수
`
평일: 하루 3시간 (필수)
주말: 하루 6시간 (필수)
→ 4개월 = 432시간
→ 부트캠프급 완성
`
2. 프로젝트 필수
`
강의만 보지 말고
3개 프로젝트 모두 완성!
→ 포트폴리오 = 취업
`
3. 배포까지
`
로컬에서만 하지 말고
AWS 배포까지!
→ 실무 경험 = 면접 합격
`
4. 커뮤니티 활용
`
- 강의 Q&A
- 개발자 카페
- 디스코드 스터디
→ 동기 부여 유지
``추천 대상
✅ **직장인**:
- 퇴사 불가
- 월급 유지 필요
✅ **비용 부담 있는 분**:
- 500만원 부담
- 10만원대가 적당
✅ **자기주도 학습 가능**:
- 스스로 계획 가능
- 꾸준함
✅ **최신 기술 원하는 분**:
- Express 말고 NestJS
- 실무 트렌드
결론: 온라인으로 충분하다
핵심 정리
1. **커리큘럼** - 오프라인 부트캠프와 동일 이상
2. **비용** - 290배 저렴
3. **시간** - 2배 효율적
4. **취업** - 오히려 유리 (최신 기술)
5. **품질** - 실무 중심
최종 조언
**부트캠프 꼭 필요한가?** ❌
**온라인으로 충분한가?** ✅
**조건**:
- 의지
- 하루 3시간
- 4개월
**결과**:
- 실무급 실력
- 포트폴리오 3개
- 취업 성공
**지금 시작**: [[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https://inf.run/UJY3H)
---
**500만원 부트캠프 대신 10만원대 온라인으로 성공했습니다.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
L
럿지 AI 팀
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