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HLS 스트리밍 도입해야 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막막했던 이야기

PM이 말했습니다. '동영상 스트리밍 기능 넣어야 해요. 2주 안에 가능할까요?' YouTube처럼 끊김 없이 재생되는 거요. 검색해도 흐름을 못 잡았는데, 이 강의 하나로 해결했습니다.

럿지 AI 팀
6분 읽기

회사에서 HLS 스트리밍 도입해야 하는데,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막막했던 이야기



"동영상 스트리밍 기능, 2주 안에 가능할까요?"



금요일 오후, PM이 슬랙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다음 스프린트에 교육 콘텐츠 기능 들어갑니다. 동영상 스트리밍이 필요한데, 2주 안에 가능할까요? YouTube처럼 끊김 없이 재생되는 거요."

개발 3년 차였지만, 동영상 스트리밍은 처음이었습니다.

"네...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답하고, 주말에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HLS 스트리밍 구현

검색해도 흐름을 못 잡겠다



구글에 "동영상 스트리밍 구현"을 검색했습니다.

나오는 키워드들:
- HLS (HTTP Live Streaming)
- MPEG-DASH
- Adaptive Bitrate Streaming
- Video Transcoding
- CDN
- m3u8 playlist

단어는 아는데, **전체 흐름을 모르겠었습니다.**

- 동영상을 업로드하면 어떻게 처리하나?
- HLS로 변환하려면 뭘 써야 하나?
- m3u8 파일은 어떻게 생성하나?
- 여러 화질은 어떻게 만드나?
- CDN 설정은 어떻게 하나?
- 플레이어는 뭘 쓰나?

블로그 글들은 부분적인 설명뿐이었습니다.

"FFmpeg으로 HLS 변환하는 법"
"AWS MediaConvert 사용법"
"Video.js 플레이어 설정"

**조각조각 흩어진 정보만 있었습니다.** 전체를 어떻게 연결하는지 모르겠었습니다.

월요일 회의: "가능합니다... 라고 했는데"



월요일 아침 회의.

PM: "스트리밍 기능, 진행 상황은?"

저: "HLS로 구현하면 될 것 같습니다. AWS MediaConvert로 변환하고..."

PM: "좋네요. 그럼 언제까지 프로토타입 볼 수 있을까요?"

저: "...이번 주 안에요."

말은 했는데 확신이 없었습니다. 흐름을 제대로 이해 못 한 상태에서 일정을 약속해버렸습니다.

막막함의 정체



왜 막막했을까 생각해봤습니다.

단편적인 지식은 있었습니다:
- HLS가 뭔지는 알았습니다
- AWS에 서비스들이 있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 플레이어 라이브러리가 있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구현하는 흐름**을 몰랐습니다.

마치 요리 재료는 다 아는데, 어떤 순서로 요리해야 하는지 모르는 것과 같았습니다.

스트리밍 아키텍처

그러다 발견한 강의



"실제 서비스에서는 어떻게 구현하나" 검색하다가, 인프런 LMS 클론코딩 강의를 발견했습니다.

커리큘럼을 보니 HLS 스트리밍 구현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인프런이라는 실제 서비스를 클론한다고 했습니다.

"바로 이거다."

월요일 밤, 강의를 구매했습니다. HLS 스트리밍 섹션부터 봤습니다.

드디어 흐름이 보이기 시작했다



강의를 보는데, **전체 흐름이 정리됐습니다.**

1. 동영상 업로드 플로우



``
사용자 업로드
→ S3 원본 저장
→ Lambda 트리거
→ MediaConvert 작업 생성
→ 트랜스코딩 (여러 화질)
→ HLS 파일 생성 (m3u8 + ts 조각들)
→ S3에 저장
→ DB에 URL 기록
→ CloudFront로 배포
``

**"아, 이런 순서구나."**

블로그에서 본 개별 기술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보였습니다.

비디오 처리 플로우

2. Adaptive Bitrate Streaming



강의에서 여러 화질을 만드는 이유를 설명했습니다.

- 1080p: 고속 인터넷
- 720p: 일반 인터넷
- 480p: 느린 네트워크
- 360p: 모바일 데이터

플레이어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화질을 바꿉니다. 그래서 끊김 없이 재생되는 거였습니다.

**"YouTube가 이렇게 작동하는구나."**

3. AWS MediaConvert 설정



강의에서 실제 설정을 보여줬습니다.

- Input 파일 경로
- Output 그룹 설정 (HLS)
- Video 설정 (코덱, 비트레이트, 해상도)
- Audio 설정
- Thumbnail 생성
- IAM 역할 설정

**단계별로 따라 하니 이해됐습니다.**

블로그는 일부만 보여줬는데, 강의는 전체 설정을 다 보여줬습니다.

AWS 미디어 서비스

4. 프론트엔드 플레이어



Video.js를 쓰는 것까지는 알았는데, 설정을 어떻게 하는지 몰랐습니다.

강의에서 보여준 것:
- m3u8 파일 로딩
- 화질 선택 UI
- 재생 속도 조절
- 구간 이동 (썸네일 미리보기)
- 모바일 대응

**실제 서비스 수준의 플레이어**를 만드는 법을 배웠습니다.

화요일 아침: 프로토타입 완성



강의를 보며 밤새 코드를 짰습니다.

화요일 아침, 프로토타입이 완성됐습니다.

- 동영상 업로드
- S3 저장
- MediaConvert 트랜스코딩
- HLS 재생
- 여러 화질 자동 전환

PM에게 시연했습니다.

PM: "벌써 됐어요? 빠르네요!"

저: "강의 하나 덕분입니다."

PM: "강의요?"

솔직하게 말했습니다. 실무에서 막혔는데, 강의를 보고 흐름을 잡았다고.

PM: "좋네요. 이거 팀에 공유해주세요. 다른 팀원들도 알면 좋겠어요."

완성된 플레이어

2주 후: 프로덕션 배포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2주간 기능을 다듬었습니다.

추가한 것들:
- 업로드 진행률 표시
- 트랜스코딩 상태 알림
- 에러 핸들링 (실패 시 재시도)
- 썸네일 자동 생성
- 자막 지원 (VTT)
- 분석 (재생 시간, 완주율)

강의에서 배운 구조를 베이스로 확장했습니다.

프로덕션에 배포했습니다. 문제없이 작동했습니다.

왜 이 강의가 도움이 됐나



1. 전체 흐름을 보여준다



블로그: 부분만 설명
강의: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흐름

**실무에서는 전체 흐름을 이해해야 합니다.** 부분만 알아서는 구현 못 합니다.

2. 실제 서비스 수준



토이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인프런이라는 실제 서비스를 만듭니다.

- 대용량 파일 처리
- 에러 핸들링
- 성능 최적화
- 비용 최적화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수준**입니다.

3. 문제 해결 과정을 보여준다



"이렇게 하면 됩니다"만 말하지 않습니다.

"이 문제가 있었는데, 이렇게 해결했습니다"를 보여줍니다.

- 트랜스코딩 실패 시 재시도 로직
- 대용량 파일 업로드 최적화
- CloudFront 캐싱 전략
- 비용 절감 팁

**실무에서 마주칠 문제들**을 미리 보여줍니다.

4. AWS 실전 사용법



공식 문서는 어렵습니다. 강의는 실전 사용법을 보여줍니다.

- MediaConvert Job Template 설정
- S3 Lifecycle 정책
- CloudFront 배포 설정
- Lambda 트리거 구성
- IAM 권한 설정

**복사해서 쓸 수 있는 수준**입니다.

이 강의가 적합한 사람



제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드리면:

기초 강의는 아닙니다



강사님이 강의에서도 말씀하시는데, **기초 강의가 아닙니다.**

최소한:
- React/Next.js 기본은 알아야 합니다
- AWS를 한 번쯤 써봤어야 합니다
- JavaScript/TypeScript를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 터미널 명령어가 낯설지 않아야 합니다

완전 초보에게는 어렵습니다.

이런 분들에게 강력 추천



**1. 기술 도입 예정인 팀**

저처럼 회사에서 스트리밍 기능을 도입해야 하는데, 어떻게 시작할지 모르는 팀.

강의 보면 **2주 안에 프로토타입 만들 수 있습니다.**

**2. 실무 개발자 (주니어 이상)**

이미 개발은 할 줄 아는데, LMS나 스트리밍 경험이 없는 개발자.

강의 보면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합니다.

**3. 시니어 개발자**

새 프로젝트 아키텍처를 설계해야 하는 시니어.

강의 보면 **검증된 구조**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삽질 안 해도 됩니다.

**4. 프리랜서**

LMS 개발 의뢰를 받았는데 경험이 없는 프리랜서.

강의 보면 **프로젝트 수주 가능**합니다.

어마어마한 가치



솔직히 말하면, 강의 가격이 부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해하면 어마어마한 가치**입니다.

제 경우:
- 2주 만에 스트리밍 기능 구현 (혼자 찾아서 했으면 한 달 걸렸을 것)
- 회사에서 인정받음 (PM이 다른 팀에 소개)
- 이 경험으로 이력서에 "동영상 스트리밍 구현 경험" 추가
- 이후 프리랜서 의뢰 2건 받음 (스트리밍 기능 개발)

**시간 절약 + 실력 향상 + 경력 + 추가 수입**

강의 가격? 첫 프리랜서 의뢰로 10배 이상 뽑았습니다.

기술 도입할 때 이렇게 하세요



제 경험을 정리하면:

1. 검증된 사례를 찾으세요



블로그 글 10개보다, **실제 서비스를 만든 강의 1개**가 낫습니다.

2. 전체 흐름을 이해하세요



부분만 알면 막힙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흐름**을 봐야 합니다.

3. 프로토타입부터 만드세요



완벽하게 만들려다 시간만 갑니다. **일단 돌아가는 것부터** 만드세요.

4. 팀에 공유하세요



혼자만 알면 아깝습니다. **팀 전체가 알면** 더 좋습니다.

다른 기능들도 마찬가지



강의에는 HLS 스트리밍만 있는 게 아닙니다.

- 결제 시스템 (토스페이먼츠)
- 소셜 로그인 (Google, Apple)
- 파일 업로드 (대용량)
- 실시간 알림 (Supabase Realtime)
- 앱 개발 (Flutter)
- AWS 배포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기능들**이 다 들어 있습니다.

저는 HLS 때문에 봤는데, 다른 기능들도 나중에 도움이 됐습니다.

회사에서 결제 기능 추가할 때, 강의에서 본 구조를 참고했습니다.

마치며: 실무에서 막힐 때



실무에서 처음 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할 때, 막막합니다.

블로그 글 10개 읽어도 흐름을 못 잡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실제 서비스를 만든 사람의 경험**을 보세요.

저는 인프런 LMS 클론코딩 강의 하나로 2주 만에 스트리밍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기초 강의는 아닙니다. 하지만 **이미 개발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이 강의만큼 빠르게 배울 수 있는 방법을 못 봤습니다.

회사에서 LMS, 스트리밍, 결제 등의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라면?

팀원들과 함께 이 강의를 보세요. **2주 안에 프로토타입 만들 수 있습니다.**

어마어마한 가치입니다.

---

**태그**: #HLS스트리밍 #실무경험 #비디오스트리밍 #기술도입 #LMS개발 #AWS

L

럿지 AI 팀

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