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어 3년 차인데 스타트업 CTO 제안이 왔습니다

평범한 주니어였습니다. 포트폴리오에 풀스택 프로젝트 올렸더니 LinkedIn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CTO로 합류하실 의향 있나요?' 연봉 8천 + 지분 2%였습니다.

럿지 AI 팀
6분 읽기

주니어 3년 차인데 스타트업 CTO 제안이 왔습니다



평범한 주니어였다



개발 3년 차. 중소기업 프론트엔드 개발자였습니다.

매일 하는 일:
- 시키는 대로 화면 만들기
- 백엔드가 준 API 연동하기
- 디자이너가 준 시안 구현하기
- 버그 고치기

나쁘지 않았지만... 성장이 느렸습니다.

"이대로 5년, 10년이 지나면 어떻게 될까?"

CTO 역량

LinkedIn 프로필 업데이트



포트폴리오를 만들었습니다. LMS 풀스택 프로젝트였습니다.

인프런 LMS 클론코딩 강의로 만든 거였습니다.

LinkedIn 프로필을 업데이트했습니다.

**변경 사항:**
- 직무: "프론트엔드 개발자" → "풀스택 개발자"
- 기술 스택 추가: Next.js, Flutter, Supabase, AWS
- 프로젝트 추가: LMS 플랫폼 (링크 첨부)
- 경력 기술서 강화

올리고 잊고 있었습니다.

기술 리더십

2주 후, DM이 왔다



LinkedIn에서 알림이 왔습니다.

**메시지:**
> 안녕하세요. 프로필 보고 연락드립니다.
> 저희는 에듀테크 스타트업 준비 중인데요,
> 기술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 혹시 커피챗 가능하신가요?

보낸 사람: 이전 직장 동료. 퇴사해서 창업 준비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커피챗 정도야..." 가볍게 만나기로 했습니다.

커피챗: 예상치 못한 제안



카페에서 만났습니다.

**그:** "프로필 봤어. LMS 플랫폼 혼자 만들었다고?"

**저:** "네, 3개월 걸렸어요."

**그:** "웹이랑 앱 다 있더라. 배포도 했고?"

**저:** "AWS에 올렸어요. 작동하는 거 보여드릴까요?"

(노트북으로 시연)

**그:** "...이거 진짜 혼자 만든 거야?"

**저:** "네, 강의 보고 배웠어요."

**그:** (진지하게) "솔직하게 물어볼게. CTO로 우리 회사 합류할 의향 있어?"

풀스택 역량

"CTO요? 저 주니어인데요"



**저:** "저 경력 3년밖에 안 됐어요. CTO는..."

**그:** "경력은 중요하지 않아. 실력이 중요하지."

**그:** "너 이거 만들면서 뭐 했어?"
- 프론트엔드 개발
- 백엔드 설계
- 데이터베이스 구축
- 앱 개발
- AWS 배포
- 전체 아키텍처 설계

**그:** "이게 다 CTO가 하는 일이야."

**저:** "하지만 팀 관리 경험도 없고..."

**그:** "팀은 같이 만들면 돼. 기술 리더십이 중요한 거야."

제안 내용



**그:** "조건 얘기해볼게."

| 항목 | 내용 |
|------|------|
| 직책 | CTO (공동 창업자) |
| 연봉 | 8,000만원 (현재 4,500만원) |
| 지분 | 2% |
| 스톡옵션 | 추가 1% (성과 달성 시) |
| 업무 | 기술 총괄, 팀 빌딩, 개발 |

**그:** "시리즈 A 받으면 회사 가치 100억은 될 거야. 2%면 2억이지."

MVP 개발 경험

고민의 시간



집에 돌아와 계산해봤습니다.

현재 회사 vs 스타트업



| 구분 | 현재 | 스타트업 |
|------|------|----------|
| 연봉 | 4,500만원 | 8,000만원 |
| 지분 | 0% | 2% (+1%) |
| 직책 | 주니어 개발자 | CTO |
| 성장 | 느림 | 빠름 |
| 안정성 | 높음 | 낮음 |
| 의사결정권 | 없음 | 있음 |

지분 가치 계산



시리즈 A (100억):
- 2% = 2억
- 3% (성과 달성) = 3억

Exit (IPO, M&A 1000억):
- 2% = 20억
- 3% = 30억

물론 실패하면 0원입니다.

왜 나를 선택했을까



다시 만나서 물어봤습니다.

**저:** "왜 저예요? 시니어 개발자도 많잖아요."

**그:** "시니어는 연봉이 너무 비싸. 1억 5천은 줘야 해."

**그:** "그리고 너는 혼자서 다 할 수 있잖아."
- 프론트 ✓
- 백엔드 ✓
- 앱 ✓
- 인프라 ✓

**그:** "시니어 3명 = 연봉 4억. 너 혼자 = 8천만원. 계산이 나오지."

**그:** "게다가 너는 빠르게 만들잖아. 3개월에 MVP를. 이게 스타트업에 제일 중요한 거야."

프로덕션 운영

결정: 수락했다



일주일 고민하고 수락했습니다.

**이유:**
1. **연봉 77% 인상** (4,500 → 8,000만원)
2. **지분** (2~3%)
3. **성장 기회** (주니어 → CTO)
4. **의사결정권** (기술 방향 결정)
5. **도전** (안전지대 탈출)

리스크는 있었지만, 기회가 더 컸습니다.

입사 첫 달: 혼자 개발



CTO로 입사했지만, 팀원은 저 혼자였습니다.

**했던 일:**
-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 MVP 개발 (웹 + 앱)
- AWS 인프라 구축
- 개발자 채용 공고 작성

LMS 프로젝트 경험이 전부 도움됐습니다.

3개월 후: 팀 구성



개발자 2명을 뽑았습니다.

**팀 구성:**
- 저 (CTO): 아키텍처, 풀스택
- 프론트엔드 개발자 1명
- 백엔드 개발자 1명

처음으로 팀을 이끌었습니다.

**배운 것:**
- 코드 리뷰
- 1:1 미팅
- 기술 의사결정
- 일정 관리

쉽지 않았지만, 성장했습니다.

6개월 후: MVP 런칭



MVP를 런칭했습니다.

**만든 것:**
- 웹 플랫폼
- iOS/Android 앱
- 관리자 대시보드
- 결제 시스템
- 스트리밍 기능

제가 설계한 아키텍처로 만들어졌습니다.

런칭 2개월 만에:
- 가입자 1,000명
- 유료 전환 20%
- MRR 500만원

1년 후: 시리즈 A



투자사를 만났습니다.

**투자사:** "기술 스택 설명해주세요."

제가 설명했습니다. 아키텍처, 기술 선택 이유, 스케일 전략.

**투자사:** "CTO가 젊으시네요. 경력이?"

**CEO(공동 창업자):** "3년 차인데 혼자서 다 만들었어요. 실력으로 증명했습니다."

시리즈 A 유치 성공. 50억 투자.

**회사 가치: 250억**

제 지분 2% = 5억

(물론 종이 위 숫자입니다. Exit 해야 현금화)

주니어 → CTO까지



| 시점 | 직책 | 연봉 | 지분 | 회사 가치 | 지분 가치 |
|------|------|------|------|----------|----------|
| 0개월 | 주니어 | 4,500만원 | 0% | - | 0원 |
| 1개월 | CTO | 8,000만원 | 2% | 10억 | 2,000만원 |
| 6개월 | CTO | 8,000만원 | 2% | 50억 | 1억 |
| 12개월 | CTO | 9,000만원 | 2% | 250억 | 5억 |

1년 만에 종이 위 자산이 5억이 됐습니다.

풀스택이 CTO의 조건일까



경험상, 스타트업 CTO에게 필요한 것:

1. 풀스택 역량 (필수)



초기 스타트업은 사람이 없습니다.

CTO가 전부 해야 합니다.
- 프론트엔드
- 백엔드
- 인프라
- 앱

못 하면 외주를 쓰거나 사람을 뽑아야 하는데, 돈이 없습니다.

2. 빠른 실행력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현해야 합니다.

MVP를 3개월 안에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3. 기술 의사결정



어떤 기술을 쓸지 결정해야 합니다.

- Next.js vs React
- Supabase vs Firebase
- AWS vs GCP

근거 있는 선택을 해야 합니다.

4. 팀 빌딩 (나중에 배워도 됨)



처음엔 혼자 하다가, 나중에 팀을 만듭니다.

채용, 관리, 코드 리뷰를 배웁니다.

어떻게 준비했나



저는 원래 프론트만 했습니다.

그러다 인프런 LMS 클론코딩을 듣고 풀스택이 됐습니다.

**배운 것:**
- 전체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 프론트 + 백엔드 + 앱
- AWS 배포 및 운영
- 빠른 MVP 개발 방법

이게 CTO 역량의 기초가 됐습니다.

CTO 제안받는 법



제 경험을 바탕으로:

1. 포트폴리오



말만 하면 안 믿습니다.

완성된 풀스택 프로젝트를 보여주세요.

2. LinkedIn 활용



프로필을 잘 쓰세요.

풀스택 개발자, 기술 스택, 프로젝트 링크.

3. 네트워크



스타트업 창업자들과 교류하세요.

커피챗, 밋업, 컨퍼런스.

4. 타이밍



시리즈 A 전 스타트업이 좋습니다.

초기면 기회가 많고, 지분도 많이 줍니다.

주니어도 가능합니다



"주니어는 CTO 안 되는 거 아냐?"

아닙니다. 가능합니다.

조건:
- 풀스택 역량
- 빠른 실행력
- 배우려는 자세

경력보다 실력입니다.

실력은 포트폴리오로 증명합니다.

마치며: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1년 전 저는 평범한 주니어였습니다.

지금은 CTO입니다. 지분 2%, 종이 위 5억입니다.

**달라진 것: 풀스택 포트폴리오 하나**

그 포트폴리오가 LinkedIn에서 연락이 오게 했고,

CTO 제안을 받게 했습니다.

당신도 할 수 있습니다.

풀스택 되세요. 기회가 옵니다.

---

**태그**: #CTO제안 #커리어도약 #스타트업 #풀스택개발자 #주니어성장 #창업

L

럿지 AI 팀

AI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을 선도하는 럿지 AI의 콘텐츠 팀입니다.